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영화 <인터스텔라>에 대해

오늘 리뷰해볼 작품은 바로 <인터스텔라>이다. <인터스텔라>는 크리스토퍼 놀란 감독의 영화로, 2014년에 개봉했다. 이 영화는 솔직히 말해서 보고 이해하는데 정말 많이 어려웠던 것 같다. 그러나 역시 그럼에도 불구하고 우주와 시공간, 혹은 차원을 다루는 감독의 감각은 정말 대단한 것 같다. 이 영화를 보고 나서, 다른 차원에 존재하는 우리들이 지금 현재의 우리들에게 메시지를 보내고 있는 요소들이 곳곳에 숨어 있는 것은 아닐까 하고 생각하기도 했다. 자, 그렇다면 본격적으로 영화 리뷰를 시작해보도록 하겠다.

 

 

감독: 크리스토퍼 놀란

 

종말론적 세계와 시간의 상대성

영화 속의 지구는 인간이 더 이상 살 수 없는 황폐한 세계로 변해가고 있다. 황사 먼지는 그들의 일상생활이 되었고, 농작할 수 있는 작물도 옥수수 말곤 남지 않았다. 그런 세계 속에서 살아가고 있던 쿠퍼(매튜 맥커너히)는 어느 날, 초자연적인 현상(?)이 알려준 좌표를 따라 찾아가게 된다. 그곳은 해체된 줄 알았던 미국 항공 우주국, 일명 NASA(National Aeronautics and Space Administration)의 비밀기지(?)였고, 그곳에서 그는 우주선의 조종을 맡아달라는 제의를 받게 된다. 사실 NASA는 인류가 새롭게 정착할 수 있는 새로운 행성을 찾고 있는 중이었다. 그렇게 해서 그는 사랑하는 가족들을 뒤로한 채로, 인류가 새롭게 정착할 행성을 찾아서 우주로 떠나게 된다. 그러나 안타깝게도 그곳에서 그들을 기다리고 있는 것은 절망적인 결과뿐이다. 그들의 기대와는 달리, 후보 행성들은 인간이 살 수 있는 곳이 아니었고, 엎친 데 덮친 격으로 그들이 행성에서 소비한 시간에 비례해(상대성 이론 때문인 것 같다) 지구의 시간은 너무나도 많이 흘러 버린 뒤다. 지구에 있는 쿠퍼의 딸 머피(제시카 차스테인)는 어느새 쿠퍼가 지구를 떠나올 때와 같은 나이가 되어 버렸다. 종말론적 세계가 도래한 지구의 인간들을 구하려는 희망 하나로, 우주라는 거대한 차원으로 뛰어들었건만, 그 거대한 우주가 그들에게 떠안기는 절망감은 그들로 하여금 종말론적 세계에 더 직면하게 만든다. 우주가 두렵고 무서울진 몰라도 악하지는 않다고 말한 아멜리아(앤 해서웨이)의 말에는 어쩌면, 그 두려움이 결국 우주가 악하지도, 선하지도 않은 것에서 기인한다는 의미를 내포하고 있던 건 아니었을까. 그렇기에 우주는 그 무엇보다도 두려운 것이며, 거기엔 자연적으로 인류를 구하지 못할 것이라는 최악의 시나리오에 대한 그들의 두려움이 깔려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럼에도 우리는 답을 찾을 것이다, 언제나 그랬듯

하지만 영화는 그런 절망적인 상황에서 끝나지 않는다. 자신을 희생해서 블랙홀(?) 속으로 들어간 쿠퍼는 그곳에서 새로운 차원(?)에 들어서게 되고, 그가 마주한 것은 자신의 딸 머피의 방 책장들이 무한(?)하게 늘어서 있는 3차원의 공간이다. 그리고 그는 그곳에서 인류를 구할 수 있는 것은 자신들이 아니라 머피이며, 자신들은 머피에게 메시지를 전달하는 중간역할이라는 것을 깨닫는다. 쿠퍼는 인류를 구할 수 있는 데이터(?)가 담긴 메세지를 머피에게 모호스 부호로 전한다. 머피는 그 메시지를, 아버지가 자신에게 준 손목시계를 통해 알게 된다. 결국 쿠퍼의 머피에 대한 사랑이 없었더라면, 그의 메시지도 머피에게 전달되진 않았을 것임을 영화는 말하고 있는 것이 아닐까. 새로운 차원에 있던 것은 결국 또 다른 그들(?)이었으며, 그 유기적인 연결고리 속에서 그들은 답을 찾아낸다. 어떤 두려움과 막막함이 그들 앞을 가로막더라도 그들은 결코 굴하지 않는다. 언제나 그랬듯, 답을 찾아내는 것. 그것이 이 영화가 전달하고자 하는 인간의 모습이 아닐까 생각해본다. 이상, <인터스텔라>에 대한 짧은 리뷰를 마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