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리뷰해 볼 작품은 바로 영화 <올드보이>다. <올드보이>는 박찬욱 감독의 영화로 2003년에 개봉했다. 감독의 다른 작품들도 많이 있겠지만, 이 영화는 특히나 박찬욱이라는 사람이 얼마만큼의 천재인가를 잘 보여주는 그런 영화인 것 같다고, 나는 개인적으로 생각한다. 어찌 됐든 오늘은 이 유명한 영화에 대해 개인적으로 생각했던 감상들을 가감 없이 펼쳐 보이겠다.
감독: 박찬욱
15년의 감금과 이유
오대수(최민식)는 15년이라는 시간동안 이유도 알지 못한 채 감금을 당한다. 그런데 이상하게도 자신이 죄의 값을 받는데, 정작 본인은 자신이 무엇을 잘못했는지 알지 못한다. 그것은 그를 미치게 만든다. 사람에게는 진실을 알고자 하는 욕망이 내재한다. 그리고 그 진실이 자신의 죄와 연관된다면 그 욕망은 극에 치닫는다. 오대수는 그 진실을 알아내려고 자신을 가둔 이우진(유지태)을 찾아낸다. 아니, 이우진이 그를 찾아온다는 게 맞겠다. 이우진은 이 모든 복수극을 준비한 장본인이니까. 누구보다 오대수가 그 이유를 알았으면 하는 것도 바로 그이니까. 그는 왜 오대수를 15년 동안이나 감금했나. 그리고 그에게 할 수 있는 가장 처절한 복수는 무엇일까. 그것은 아마도 그가 자신과 같은 종류의 죄를 저지르게 하는 것일 테다. 그리고 실제로 그는 오대수가 그것을 행하게 만든다. 오대수는 짐작조차 하지 못한다. 미도(강혜정)가 누구이며, 자신이 과거에 어떤 죄를 저질렀는지에 대해. 우진의 말마따나, 그의 잘못은 말이 너무 많은 것이지만, 그 말 한마디가 어떤 사람에겐 인생을 좌지우지할 수도 있다는 것을 우리는 간과해서는 안 된다. 그리고 마침내 그가 미도의 정체를 알게 되었을 때, 비로소 그는 이우진이 견뎌온 고통의 시간을 깨닫게 되며, 자신이 저지른 죄가 얼마만큼의 무게인지를 진심으로 깨우치게 되는 것이다. 우리는 진실을 알고자 하는 욕망이 있지만, 정말 진실이란 것은 존재하는 것일까. 사람의 세 치 혀가 만들어내는 무수한 진실들 속에서 우리가 봐야 할 것은 도대체 무엇일까. 이 영화는 그런 질문을 우리에게 던지고 있다.
복수가 끝나고 나서
이우진은 모든 것을 알고서도 수아(윤진서)를 사랑했다고 말한다. 그가 오대수에게 자신과 같은 죄를 저지르게 만들지만 그것은 어디까지나 최면에 의한 것일 뿐, 결코 근원적인 측면에서 둘의 죄는 같을 수 없다. 모든 것을 알고서도 저지르는 죄에는 무언가 단단한 각오 같은 것이 깃들어 있다. 그렇기 때문에 그것을 단순히 죄의 측면에서만 바라볼 수는 없다. 반면 그저 최면에 의한 죄는 더럽고 추잡한 것일 뿐 그 어떤 것도 존재하지 않는다. 여기서 이우진이 그토록 원했던 진정한 복수가 완성된다고 볼 수 있다. 그리고 그는 자신의 복수가 마침내 끝났다는 것을 알고는 자신의 관자놀이에 방아쇠를 당긴다. 복수가 인생의 전부가 되어버렸던 그가, 복수를 끝냈을 때 할 수 있는 것은 그것밖엔 없었을 테니까 말이다. 오대수가 자신의 세 치 혀를 가위로 자를 때, 이우진은 오히려 웃음 짓는다. 그가 당하는 고통은 자신에 비하면 아무것도 아니라는 듯이. 그리고 정말로 그것은 맞다. 이우진은 우리가 상상할 수도 없는 고통의 시간을 견뎌왔을 것이다. 감금을 당했던 것은 오대수였지만, 죄의 무게를 짊어지고 살아야 했던 것은 어쩌면 우진이었을지도 모른다. 그리고 모든 진실을 알게 된 오대수는 앞으로 우진과 같은 무게를 짊어지고 살아가야 할 것이다. 모든 복수가 끝나고 나서, 이우진의 눈앞에 나타난 것은 사랑했던 수아의 모습이며, 그녀의 손을 놓을 수밖에 없었던 자신의 안타까웠던 모습이다. 그 장면을 보는데 왜 그렇게 슬프던지. 영화가 끝나고 나서 계속해서 우진의 우는 모습이 눈에 아른거렸다. 이상 영화 <올드보이>에 대한 짧은 리뷰를 마친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복수는 나의 것>에 대해 (0) | 2020.02.23 |
---|---|
영화 <레퀴엠>에 대해 (0) | 2020.02.22 |
영화 <토니 타키타니>에 대해 (0) | 2020.02.20 |
영화 <곡성>에 대해 (0) | 2020.02.19 |
영화 <케빈에 대하여>에 대해 (0) | 2020.02.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