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영화리뷰

영화 <김씨 표류기>에 대해

일단 리뷰에 들어가기에 앞서, 요즘 코로나 문제 때문에 모두가 예민하고 힘든 시기인데, 하루빨리 바이러스 문제가 해결되었으면 좋겠다는 바람이다. 부디 다들 개인위생관리 철저히 하시고, 건강 챙기시길. 

오늘 리뷰해볼 작품은 바로 <김씨 표류기>이다. 이 작품은 이해준 감독의 영화로, 2009년에 개봉했다. 현대의 대한민국을 살아가는 사람들이라면 분명히 이 영화 속 인물들의 모습에 공감하지 않을까 싶다. 겉으로 보기엔 가볍게 볼 수도 있는 영화이겠지만, 그 안에 담고 있는 메시지는 결코 가볍지 않다고 생각했던 영화. 자, 그럼 본격적으로 영화 리뷰를 시작해보도록 하자.

 

 

감독: 이해준

 

현대인들의 초상

영화 속 김승근(정재영)은 대출 빚밖에는 남은 것이 없는, 벼랑 끝의 인간이다. 그는 자살 시도를 하지만, 그마저도 실패를 하고, 그렇게 그는 외부와 단절된 한강의 외딴 섬에 갇히는 신세가 된다. 그러나 왜인지, 그곳에서 그는 최대한 살려고 마음을 고쳐 먹는다. 섬에 갇히기 이전에는 스스로 목숨을 끊으려고 했던 그가, 살려고 노력한다. 섬에서의 생활은 도시와는 다르게 문명화되어 있지도 않고, 모든 것을 혼자서 자급자족해야만 하지만, 그는 하나하나 살아가는 방법을 터득해 나간다. 마치 첨단화된 세계 속에 홀로 원시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듯하다. 그러나 그는 섬의 삶에서, 이전 도시 삶에서는 알지 못했던 가치들을 깨닫기 시작한다. 그리고 그것이 그의 삶에 다시금 살고자 하는 의지를 불어넣는다. 여기서 우리는 생각해봐야 하지 않을까. 현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의 모습에 대해서 말이다. 그가 아주 사소한 것에서부터 삶의 소중함을 깨달아갈 때마다 우리는 우리 자신들의 모습을 뒤돌아보게 된다. 분명 사는 것도 편리해졌고, 모든 것이 간편해졌지만, 지금 이 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우리들은 각박함이란 굴레 속에 진정으로 소중한 가치들을 지워버린다. 그렇기 때문에 영화 속에서 점점 원시인(?)화 되어가고 있는 승근의 모습을 보면서도, 우리는 그가 오히려 부럽다고 느낀다.

 

 

정말로 섬에 갇혀 있는 것

이 영화 속에서 승근은 홀로 섬에 갇혀있지만, 그는 다른 의미에서 온전히 혼자는 아니다. 김정연(정려원)은 외부세계와 단절된 채 자신의 방에서 살아가고 있는, 일명 히키코모리다. 그녀는 망원경으로 바깥 세상을 보던 중, 승근을 보게 된다. 그리고 그에게 관심이 생긴 그녀는, 그때부터 그를 관찰하기 시작한다. 혼자만의 공간에 갇혀 외부와 단절된 삶을 살아가던 그녀도 승근이라는 존재를 통해 조금씩 삶에 용기를 가지기 시작하면서, 그녀에게도 작지만 커다란 변화가 일어난다. 그리고 그에게 마침내 메시지를 보낸다. 그때부터 이 둘 사이에는 소통이라는 작은 끈이 생겨나게 된다. 시간에 쫓겨 바쁜 일상을 살아가고 있는 사람들은 결코 이해하지 못할 깊은 유대 같은 것이 둘 사이에 생겨나게 되는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둘은 더 이상 자신들을 혼자라 생각하지 않는다. 이 작은 소통 또한 그들이 깨닫는 삶의 소중한 가치 중 하나일 것이다. 우리는 이 영화를 보면서 생각해야 한다. 진정으로 삶의 소중한 것들을 잊고 살아가는 우리들이야 말로 각자의 섬에 갇혀 살아가는 존재들은 아닐까 하고 말이다. 이상 영화 <김씨 표류기>에 대한 짧은 리뷰를 마친다.

 

'영화리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영화 <오버 더 펜스>에 대해  (0) 2020.02.27
영화 <죄 많은 소녀>에 대해  (0) 2020.02.26
영화 <굿 윌 헌팅>에 대해  (0) 2020.02.24
영화 <복수는 나의 것>에 대해  (0) 2020.02.23
영화 <레퀴엠>에 대해  (0) 2020.02.22